공부 방법, 자기관리 관련 글

공부가 하기 싫을 때 극복 방법

SteadySeller_dev 2024. 10. 11. 23:06

공부가 하기 싫을 때 우리는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누가 시키지 않았음에도 매일 공부를 하거나 책을 읽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재미도 없는데, 억지로 하는 걸까?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는 걸까요?  

 

 

진화 생물학점 관점으로 봤을 때 인간의 뇌 목적은 학교를 가고, 수업을 통해 공부하고,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생존을 위해 보상을 추구하고, 자손을 남기고 종족을 번식시키는 것입니다.  보상을 추구하는 것 즉 "보상(재미)"가 진화의 원동력입니다.  

 

신경과학에서는 인간의 행동2가지 동기에 의해 나온다고 하는데, 하나는 생존과 관련된 것들 ( 물, 음식, 잠, 고통의 회피 ), 또 다른 하나는 보상입니다. 보상은 공부를 해서 얻은 상, 칭찬, 성적뿐만 아니라 기분이 좋은 감정을 자아내고 동기를 유발하는 어떤 대상이나 활동 등도 모두 보상이 될 수 있습니다. 

 

도파민 (AI 생성 이미지)

 

우리의 뇌에는 보상 시스템이라는 것이 있는데, 보상에 의해 활성화되는 뇌를 말합니다. 보상은 도파민에 의해 전달됩니다. 우리가 맛있는 음식을 먹거나, 도박, sns사용, 게임, 온라인 쇼핑 등의 재밌는 경험을 할 때 보상회로가 활성화되고, 기분 좋은 느낌(쾌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이러한 행동을 상상하는 것만으로 도파민이 분비되는데, 보상회로가 활성화되면 우리의 뇌는 어떤 중요한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기억했다가 반복적으로 원하게 됩니다. 이것이 공부를 하게 되는 핵심 기제입니다. 중독과 같은 원리이죠. 

 

보통 우리가 공부를 하기 싫어하는 이유는 공부를 했을 때 기대가 되는 보상이 적었던 것에 기인합니다. 보상이 즉시적이고, 가치가 큰 게임이나 SNS에 길들여진 뇌를 가진 우리들에게 당연한 결과 인지도 모릅니다. 

 

도파민을 일시적으로 높이는 물질을 습과적으로 복용하거나 게임 같은 것을 너무 자주 하면, 강한 자극에 계속 노출되게 되고, 그 자극에 대한 중독과 중독을 일으키는 다른 모든 것들에 흥미를 잃는 뇌의 구조로 변하게 됩니다. 게임이나 야동, sns에 중독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도파민 중독을 피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1. 게임, sns등을 어떤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사용하자. 

더보기

  1시간 공부를 하고 10분 sns를 한다. 혹은 3~4시간 공부를 하고 1시간 게임을 한다 등으로 활용한다. 

2. 도파민 절제 날을 지정한다. 

더보기

일주일 중에 하루 도파민이 많이 분비되는 모든 활동을 피한다.  

익숙해지면 금지사항을 늘리거나 요일을 늘린다. 

 

강한 자극에서 벗어나는 일은 공부를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강한 자극에서 벗어나야 다른 활동에 관심을 가질 수 있고, 높은 노력이 요구되고, 높은 보상이 주어지는 공부를 시작할 수 있다. 

 

우리가 시험 공부를 할 때 단기(1주~ 2주) 공부를 할 때는 힘들게 느껴지지 않는데, 장기(1달~N 년) 공부를 하려고 할 때 재미가 없게 느껴지고, 막막해서 하기 싫어진다면 도파민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도파민을 일시적으로 높이는 행동을 자제하고, 노력을 통하여 보상을 얻는 행동을 반복하면 하기 힘든 일에도 참고 견딜 수 있는 힘이 길러지고, 공부의 장기 레이스를 하는데 힘을 기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화이팅